본문 바로가기

2023 청년 도약 계좌 신청 대상 및 조건 확인하기

혀_기 2023. 1. 27.

윤석열 정부가 당선이 되면서 공약으로 내밀었던 청년 도약 계좌의 모습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청년들의 목돈 마련의 도움을 주기 위해 청년 희망 적금 계좌랑은 또 다른 내용으로 새로운 모습을 내비칠 준비중이라고 합니다. 청년 도약 계좌 신청 대상을 알아보려 합니다. 

 

청년 도약 계좌 신청 대상 알아보기

 

청년 도약 계좌

 

청년 도약 계좌란 무엇인지 알아 봅시다.

청년 도약 계좌란?

20대에서 30대의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돕기 위해서 나온 정책입니다. 개인이 일정 금액 한도 내에서 매월 일정하게 납부를 하게 된다면 소득 수준에 따라서 정부에서 지원금을 추가로 지원해주는 금융 정책입니다. 

 

청년 도약 계좌 신청 조건

신청조건 및 대상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대상

근로 소득이나 사업 소득이 있는 만 19세 ~ 34세에 해당되는 청년이면 모두 가입 대상이 됩니다. 

개인 소득의 조건은 연 6,000만 원 이하입니다.

 

가구 소득 기준

기존에 있던 청년 희망 적금에는 적용되지 않았던 가구소득 기준이 추가되었습니다.

청년 도약 계좌의 가구소득 기준은 중위 180% 이하의 기준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가구원수의 따른 중위소득을 알아봅시다.

가구원 2023년 중위소득
1인 가구 약 207만 8,000원
2인 가구 약 345만 6,200원
3인 가구  약 443만 5,000원
4인 가구 약 540만 9,700원
5인 가구 약 633만 6,900원
6인 가구  약 722만 8,000원

 

가입 가능 금액

금리는 연 3.5%의 금리이지만 상황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월 40만 원 ~ 70만 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며 정부에서는 납입 금액의 3% ~ 6% 정도 보조금으로 지원하게 됩니다.

단순 적금형이 아닌 투자 운용 형태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종류는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총 3가지 입니다. 

납입 기간은 만기 5년 입니다.

  • 월 40만 원 ~ 최대 70만 원 납입 가능
  • 납입 금액에 따라서 정부에서 3% ~ 6% 보조금 지원
  • 투자 운용 형태 선택 가능 (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 납입기간은 만기 5년
  • 생애 최초 주택 구입 및 장기 실직 등의 사유료 중도인출 및 재가입 허용
  • 5년간 최대 지원금이 약 5,000만 원으로 계산된다.

청년 도약 계좌 정리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청년 도약 계좌에 대한 정리 입니다.

계좌 청년 도약 계좌
지원 대상 만 19 ~ 34세 청년
소득 기준 근로 또는 사업소득 (연 6,000만 원 이하)
중위 소득 기준 180% 이하
납입 기간 5년 만기
납입 금액 월 40만 원 ~ 최대 70만 원
세금 비과세 혜택
정부 지원 납입 금액의 3% ~ 6% 보조금 지원
가입 상품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중 선택 가능

 

댓글